-
OSI 7계층과 TCP/IP 4계층공부방 2023. 11. 7. 22:56
OSI 7계층
OSI 7 계층. 출처 http://wiki.hash.kr osi 7 계층은 1984년 ISO(국제표준화기구) 에서 정의한 것으로,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이다.
1계층 -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
PDU : Bit
Protocol : 10BASE-T 등
디바이스: 허브, 리피터
OSI 7계층 중 가장 아래에 있는 계층으로 물리적인 매체이다.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 데이터로 통신을 하며 전기적 신호 On, Off로 이루어져 있다. 실제 데이터가 어떤것이 있는지는 알지 못하고 단순히 전기적 데이터를 통신할 뿐이다.
2계층 - 데이터링크 계층(DataLink Layer)
PDU : Frame
Protocl : Ethernet 등
디바이스 : 브릿지, 스위치
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 되는 정보들을 CRC 기반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를 사용하여 정보 전달을 수행을 한다. 물리적 주소인 MAC address 를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. 주로 1홉(hop) 통신을 담당한다. 1홉 통신이면 한 라우터에서 그 다음 라우터까지의 경로를 말한다. 데이터 링크 계층의 가장 잘 알려진 예는 이더넷이다.
3계층 -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PDU : Packet
Protocol: IP, ICMP, ARP 등
디바이스 : 라우터, L3 스위치
네트워크 계층은 2홉이상의 통신을 담당하며 네트워크 간에 실제 라우팅을 담당한다. 통신은 논리 주소인 IP address를 사용한다. 라우팅, 흐름제어, 세그멘테이션, 오류제어 등을 수행한다.
4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PDU : TCP - Segment, UDP - Datagram
Protocol: TCP, UDP 등
디바이스 : 게이트웨이
하위 계층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것이 전송 계층의 주 목적이다. 시퀀스 넘거 기반의 오류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. 연결형 프로토콜과 비연결형 프로토콜 모두 사용하며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TCP, UDP 등이 있다. 프록시 서버, 특정 방화벽이 이 계층에 속한다.
5계층 -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PDU : Data
Protocol : NetBIOS 등
세션 계층은 두 엔드포인트간 세션을 관리하며 Port 를 통해 연결된다. TCP/IP 세션을 만들고 없애고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오류 복구 명령들을 다루며 통신하기 위한 세션을 확림, 유지, 중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.
6계층 -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
PDU : Data
Protocol : ASCII, MPEG, JPEG, MIDI
표현 계층은 응용 계층으로부터 전송받거나 응용 계층으로 전달해야 할 데이터의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한다. 또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암호화, 복호화 작업도 이 계층에서 이루어진다. 예를들면 유니코드로 이루어진 문서를 ASCII 로 변환하려하면 이 계층에서 이루어진다.
7계층 -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PDU : Data
Protocol : HTTP, SMTP, SSH, FTP, Telnet, DNS 등
가장 최상위계층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유일한 계층이다. 네트워크 활동의 기반이 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 크롬,이메일,텔넷 등 서비스가 있다.
TCP/IP 4 계층
출처 https://yozm.wishket.com/ osi 7 계츤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 한 모델이고 TCP/IP 4 계층은 좀 더 실무적이면서 프로토콜 중심으로 단순화된 모델이라 볼 수 있다.
1계층 - 네트워크 연결 계층(Network Access Layer)
PDU : Frame
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. 물리적인 주소인 MAC Address를 통해 통신한다. 대표적으로 Ethernet 이 있다.
2계층 -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
PDU : Packet
Protocol : ARP, ICMP 등
단말간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. 논리 주소인 IP를 통해 식별한다. 라우팅 기능이 있다.
3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PDU : Segment
Protocol : TCP, UDP 등
통신 노드간 데이터 전송 및 흐름에 있어 신뢰성을 보장해준다. 데이터를 적절한 어플리케이션에 도달하게 해주며 Port 를 기반으로 식별한다. TCP 와 UDP 등의 프로토콜이 있다.
4계층 -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PDU : Data
Protocol: FTP, HTTP, DNS 등
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여러 서버나 응용 프로그램들이 동작하는 계층이다
참고
http://wiki.hash.kr/index.php/OSI_7_%EA%B3%84%EC%B8%B5
OSI 7 계층 - 해시넷
OSI 7 계층(OSI 7 Layer) OSI 7 계층(OSI 7 Layer)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 이다. 이는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개
wiki.hash.kr
https://shlee0882.tistory.com/110
OSI 7 계층이란?, OSI 7 계층을 나눈 이유
1. OSI 7 계층이란?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. 1.1 OSI 7 계층을 나눈이유는?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
shlee0882.tistory.com
https://velog.io/@dyunge_100/Network-TCPIP-4%EA%B3%84%EC%B8%B5%EC%97%90-%EB%8C%80%ED%95%98%EC%97%AC
[Network] TCP/IP 4계층에 대하여
두 계층 모두 데이터 통신을 표현한 계층이긴 하지만 OSI 7계층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고 한 모델이다. 그에 반해 TCP/IP 4계층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
velog.io
'공부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프라인 프로토콜 (1) 2023.11.22 HTTPS 통신 과정 (0) 2023.11.15 Session과 Token (0) 2023.10.20 부동소수점 표현 방식 [IEEE 754] (0) 2023.08.31 스프링과 디자인 패턴 (0) 2023.08.27